본문 바로가기

사업장별 산재보험요율 조회 방법과 확인 절차 총정리

안꼰대 박팀장 2025. 4. 12.

산재보험요율은 사업주가 꼭 확인해야 할 중요한 항목입니다. 특히 신규 사업장을 개설하거나, 산업안전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면 사업장별 산재보험요율 조회 방법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합니다.

산재보험요율이란?

산재보험요율은 근로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를 대비하기 위해 사업주가 부담하는 보험료의 비율을 말합니다.

이 요율은 사업의 업종(업태)에 따라 달라지며, 고용노동부에서 매년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 산재보험료 = 산재보험요율 × 총 보수액
  • 요율은 0.6% ~ 30% 수준까지 업종별로 다양하게 책정됩니다.

사업장별 산재보험요율 조회가 중요한 이유

  1. 보험료 정확 산정 - 업종별 산재 위험도에 따라 요율이 다르므로, 정확한 조회가 필수입니다.
  2. 사업장 부담 예측 - 향후 납부 보험료를 미리 예측할 수 있어, 경영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됩니다.
  3. 산재 예방 활동 - 고위험 업종일수록 산재 예방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사업장별 산재보험요율 조회 방법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조회 방법

 1.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접속

 

 

2. 사업장 회원 로그인   >   정보조회 

 

3. 정보조회  >  보험료정보 조회  >  사업장요율조회(20206)산재보험요율 조회 클릭

 

4. 사업장 관리번호, 년도 입력 후 조회

 

5. 사업장요율 조회

신규 사업장은 잠정요율이 부여되며, 추후 업종 확정 시 확정요율로 변경됩니다.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에서 업종별 요율 확인

1.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 접속 - 대표홈페이지 선택

 

2. 산재.고용보험가입 선택

 

3. 보험요율 선택

 

4. 업종별 산재보험요율표 확인

산재보험요율 관련 주요 용어 정리

용어 설명
산재보험요율 업종별로 정해지는 보험료 비율
업종코드 사업장의 업태를 숫자로 표현한 코드
잠정요율 신규 사업장에 부여되는 임시 요율
확정요율 실제 업종 확인 후 최종 부여되는 요율

산재보험요율 변경이 필요한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근로복지공단 또는 고용노동지청에 정정 신청이 가능합니다:

  • 신고된 업종과 실제 업종이 다를 경우
  • 사업 확장 또는 업종 변경 시
  • 요율이 과다 적용된 경우

필요 서류: 정정신청서, 사업자등록증, 임대차계약서 등

 

 

문의 및 고객센터 안내

  • 근로복지공단 고객센터: 1588-0075
  •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상담: 1566-0075
  • 운영시간: 평일 09:00 ~ 18:00

결론: 사업장별 산재보험요율 정확히 알고 대응하자!

산재보험요율은 단순한 숫자가 아닌, 사업장의 안전관리 수준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정확하게 조회하고, 필요 시 정정 신청하여 불필요한 보험료 납부를 방지하세요. 정기적으로 요율을 확인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