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다와 매다; 가방을 메다, 신발끈을 매다, 목을 매다, 목메다.
포스팅을 하다 보면 우리나라의 맞춤법이 왜 이렇게 어려운지 모르겠습니다.
헷갈리는 단어는 은근히 피해서 글을 사용하게 되니 점점 더 헷갈리게 되는데요...
죽을 때까지 헷갈리지 않을까 싶은 단어입니다.
메다와 매다...ㅋㅋ
메다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다.
(사람이 책임이나 임무를) 지거나 맡다.
- 어깨에 배낭을 메다.
- 총을 메고 수백 명이 허옇게 몰려오고 있습니다.≪송기숙, 암태도≫
- 그는 주저하지 않고 학생회장이라는 중책을 메었다.
- 총대를 메다.
뭔가를 어깨에 올리다 / 임무를 지거나 맡다 = 메다(○), 매다(×)
매다
끈이나 줄 따위의 두 끝을 엇걸고 잡아당기어 풀어지지 아니하게 마디를 만들다.
(사람이 무엇을 고정된 물체에, 또는 끈이나 밧줄로) 고정시키거나 움직이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묶다.
- 신발 끈을 매다.
- 옷고름을 매다.
- 그들은 죄인을 의자에 밧줄로 매어 놓고 심문을 시작했다.
- 태풍이 분다는 예보에 어부들은 배를 말뚝에 단단히 매었다.
- 안전띠를 매다
쉽게 생각해서,
어깨에 올리는 뉘앙스면 '메다' / 풀어지지 않게 묶는거면 '매다'
이렇게 생각하면 이해가 될는지...
추가로,
목을 매다 : 전력을 다하다.
김 대리가 승진을 위해 일에 목을 맸다.
목메다 : 설움 따위의 감정이 복받쳐서 목구멍이 막히거나 잠기다.
그녀는 하늘나라에 있는 아들의 이름을 목메어 불렀다.
이번 포스팅을 계기로 더 이상 메다와 매다가 헷갈리지 않기를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반응형
'정보노트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석 명절맞이 온누리상품권 특별판매, 서두르세요~~~ (6) | 2020.09.17 |
---|---|
QR코드 전자출입명부 체크인 쉽게 하기, 꿀 TIP??? (5) | 2020.09.04 |
선별진료소 찾는 방법과 코로나19 검사 순서, 후기입니다. (6) | 2020.08.25 |
갤럭시 스팸 차단 메시지 복원하는 방법 (4) | 2020.07.08 |
비 내리는 수요일엔 빨간 장미를 (16) | 2020.06.24 |
댓글